링크드인 사용 설명서 (시리즈 1)

링크드인 사용법 1
링크드인 사용법 1

[1편] 링크드인 시작하기: 지금 당장 해야 할 5가지 기본 설정

링크드인, 어렵게 느껴지시죠? 하지만 딱 5가지 기본 설정만 해두면, 이후 활용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취업과 이직, 네트워킹의 필수 플랫폼이 된 링크드인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본 세팅을 알아봅시다.

① ‘Public profile URL’ 깔끔하게 바꾸기

기본 프로필 주소는 linkedin.com/in/abcd123efg/처럼 지저분하죠. 이는 명함이나 이메일 서명에 넣기도 어색합니다. → 설정 > 공개 프로필 편집 → URL을 linkedin.com/in/yourname처럼 바꿔주세요.

🔗 예시: linkedin.com/in/jihye-kim

깔끔한 URL은 전문성을 높여주고, 구글 검색 시에도 상위 노출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름과 성을 조합하거나, 분야를 함께 넣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 linkedin.com/in/jihye-kim-marketing)

② 프로필 사진 & 배너 이미지 등록

  • 프로필 사진: 깔끔한 정면 얼굴 사진, 배경은 밝고 단정하게 설정하세요. 전문가적인 이미지가 중요합니다.
  • 배너 이미지: 업종 관련 이미지나 무난한 패턴형 사용을 추천합니다.
    • 예시: 제약회사 → 실험실/의약품/전문적 느낌 이미지
    • IT 기업 → 코드, 디지털 이미지
    • 금융권 → 차분한 그래프, 비즈니스 관련 이미지

프로필 방문자의 75%가 사진이 있는 프로필에 더 오래 머무른다는 링크드인 통계가 있습니다. 첫인상이 중요합니다!

③ 현재 직장 및 직무 업데이트

  • “Current Position”에 현재 직무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 구글 서치를 통해, 회사 내에서만 사용하는 단어가 아닌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타이틀을 기재하세요. 고민을 좀 하셔야 합니다!  이 부분이 중요해요!
    • 예: Marketing Specialist at Hana Pharm
    • 예: Project Manager at LG Electronics

경력 공란이 있으면 검색 노출이 제한됩니다. 현재 구직 중이라면 가장 최근 직무를 남겨두거나, 프리랜서/컨설턴트로 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무명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현을 사용하면 검색 최적화에 유리합니다. 직무 설명도 간략하게 추가해두면 좋습니다.

④ 업계 관련 키워드 추가하기

프로필의 ‘제목(Headline)’과 ‘소개(About)’ 섹션에 업계 관련 키워드를 포함시키세요. 헤드헌터와 채용 담당자들이 주로 검색하는 키워드를 활용하면 노출 빈도가 높아집니다.

  • 제목 예시: “Digital Marketing Specialist | SEO | Content Strategy | E-commerce”
  • 소개 섹션에는 보유 기술, 주요 성과, 전문 분야를 간결하게 작성하세요.

링크드인 알고리즘은 이러한 키워드를 기반으로 프로필을 검색 결과에 노출시키므로 SEO 관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⑤ Open to Work 설정 (비공개 추천)

→ 프로필 상단 ‘Open to Work’ > Recruiters only 선택 → 현재 회사엔 노출되지 않고, 헤드헌터에겐 오픈됩니다.

링크드인 알고리즘은 ‘Open to Work’ 설정된 프로필을 채용담당자에게 더 많이 노출시킵니다. 원하는 직무와 선호 지역, 근무 형태 등을 상세히 입력해두면 맞춤형 제안을 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직 중이 아니더라도 ‘Open to Networking’으로 설정해두면 업계 인맥 확장에 도움이 됩니다.


이 5가지 기본 설정만 완료해도 링크드인 활용도가 크게 높아집니다. 다음 편에서는 프로필 콘텐츠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링크드인을 통해 새로운 커리어 기회를 발견하세요!

미중 무역갈등…희토류가 뭐길래?

희토류가 뭐길래
희토류가 뭐길래

미중 무역갈등…희토류가 뭐길래?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로 전 세계가 휘청거리고 있습니다. 2025년 4월들어 더욱 강도 높게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중국은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겠다는 강수를 두며 맞섰습니다. 이제 글로벌 경제는 다시 한번 ‘희토류’ 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희토류란?

**희토류(Rare Earth Elements)**는 이름처럼 ‘드물고 귀한’ 자원은 아니지만, 정제 과정이 복잡하고 환경 오염이 심해 공급이 제한적인 17가지 금속 원소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네오디뮴, 디스프로슘, 프라세오디뮴 등이 있고, 이들은 스마트폰, 전기차, 풍력발전기, 반도체, 군사 장비 등 핵심 산업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쉽게 말해, 희토류 없이는 지금 우리가 쓰는 하이테크 기술 대부분이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다는 뜻이죠.

미국 vs 중국, 다시 격화되는 무역 전쟁

2025년 4월,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145%에 달하는 보복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철강, 저가 소비재 등에 강한 타격을 입히는 조치입니다. 이 조치는 “중국의 불공정 무역을 바로잡겠다”는 트럼프식 보호무역주의의 연장선으로 보입니다.

이에 맞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 부과와 함께 희토류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정제의 약 70%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이 조치는 단순한 보복 이상의 글로벌 공급망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왜 희토류가 중요한가?

희토류는 작은 부품에서부터 우주 항공, 군사 무기까지 다양한 기술에 쓰입니다.

예를 들어;

  • 전기차: 모터에 들어가는 네오디뮴 자석

  • 스마트폰: 진동 기능, 스피커, 화면 발광

  • 반도체: 정밀 가공 공정에 사용

  • 방위산업: 레이더, 유도미사일 등 핵심 기술

즉, 희토류는 ‘21세기의 석유’라고도 불릴 만큼 첨단 기술 경쟁의 핵심 자원입니다. 이 때문에 희토류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은 단순한 무역 전쟁을 넘어 기술 패권 경쟁으로 해석됩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현재 미국은 호주, 캐나다, 베트남 등과 협력해 희토류 공급선을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자국 내 희토류 채굴 및 정제 설비에 대한 투자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은 자국 내 공급 통제를 강화하며 미국을 압박하고 있어, 공급망 안정성 확보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도 미중 갈등의 직격탄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산업처럼 희토류 의존도가 높은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내 기업은 자원 확보를 위해 공급망 다변화, 재활용 기술 개발, 희토류 대체 소재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 희토류는 첨단산업의 필수 자원

  • 중국이 전 세계 희토류 정제의 70%를 차지

  • 트럼프 관세 → 중국 보복 → 희토류 수출 제한으로 긴장 고조

  • 글로벌 공급망·기술 산업에 직격탄

  • 한국도 대책 마련이 시급

깔끔한 이력서 양식 다운로드

이력서 양식 다운로드

깔끔한 이력서 양식 다운로드 (무료 제공) – 이력서 잘 쓰는 팁

취업 준비의 첫 걸음, 바로 이력서 작성이죠. 깔끔한 이력서는 인사 담당자에게 좋은 첫인상을 주고, 지원자의 강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오늘은 실무에 강한 이력서 양식을 무료로 제공해드리며, 함께 사용하면 좋은 이력서 작성 팁도 정리해 보았습니다.

📌 이력서 양식 다운로드 (무료 제공)

👉 [깔끔한 이력서 양식 다운로드하기 (워드)]

✅ 구성: 인적사항, 학력/경력사항, 자격증, 어학능력, 자기소개 요약
✅ 특징: 깔끔한 흑백 디자인, 정돈된 레이아웃, 수정 편한 한글(.hwp)과 워드(.docx) 버전 제공


✅ 이력서 작성 전 체크리스트

1. 맞춤형 작성이 중요해요
모든 이력서를 똑같이 제출하시면 안 됩니다. 직무에 따라 이력서 내용도 달라져야 합니다. 핵심 키워드와 연관 경험을 강조하세요.

2. 한눈에 보기 쉽게 작성하세요
가독성 좋은 레이아웃이 중요합니다. 표를 활용하고, 너무 많은 텍스트는 피하세요. 담백하고 직관적인 표현이 돋보입니다.

3. 오탈자와 날짜는 반드시 확인
연도, 월 등 경력 기간이 일치하는지, 띄어쓰기나 맞춤법에 오류는 없는지 마지막 점검은 필수입니다.


📍 이력서에 자주 들어가는 항목 정리

항목 체크 포인트
인적사항 연락처, 이메일 주소 오류 없는지 확인
학력사항 최근 학력부터 역순으로 기재
경력사항 주요 담당 업무, 성과 중심으로 작성
자격증/어학 공신력 있는 시험 위주로, 점수와 날짜 명확히 작성
자기소개 요약 강점, 가치관, 직무 연관성 중심 3~4줄 요약

💡 이력서 잘 쓰는 꿀팁

  • 불필요한 장식은 빼고, 본문에 집중
    지나치게 화려한 디자인은 오히려 역효과! 특히 대기업이나 외국계 기업은 정돈된 기본형을 선호합니다.

  • 성과는 수치로 보여주기
    예: “고객 만족도 향상” → “고객 만족도 15% 향상”

  • 한 페이지 내외로 요약하는 연습
    3장짜리 이력서보다, 핵심이 잘 정리된 1장 이력서가 더 인상 깊습니다.

마무리

좋은 이력서는 단순한 문서 그 이상입니다. 당신의 가치를 첫인상으로 전달하는 도구죠. 위에서 제공해드린 양식을 활용해, 여러분의 강점을 더 잘 보여주는 이력서를 완성해보세요!

이력서 양식 다운로드

Employee Termination in Korea

termination and recommended resignation in Korea

Understanding “Recommended Resignation” in Korea from a Foreign Company’s Perspective

In South Korea, companies often opt for "recommended resignation" instead of direct termination. This practice can be unfamiliar to foreign companies operating in Korea, as it differs significantly from employment termination procedures in many other countries. Understanding the legal framework and cultural context behind recommended resignation is essential for foreign employers managing workforce adjustments in Korea.

Key Differences Between Recommended Resignation and Termination

  1. Legal Definition
  • Recommended Resignation: This refers to a situation where an employer suggests that an employee voluntarily resign. The employee’s consent is required, and the resignation cannot be enforced unilaterally.
  • Termination (Dismissal): The employer ends the employment relationship without the employee’s agreement. Korean labor law strictly regulates termination, requiring justifiable reasons and proper procedures.
  1. Legal and Administrative Implications
  • Termination Requires Strong Justification: Employers must prove a legitimate reason, such as serious misconduct or severe underperformance. Even in cases of business restructuring, layoffs must meet stringent legal criteria.
  • Recommended Resignation is Simpler: Because it is based on mutual agreement, it bypasses many of the legal hurdles associated with termination.
  • Avoiding Legal Disputes: Wrongful termination claims can lead to lawsuits or labor disputes, so many companies prefer to negotiate a resignation package instead.

Why Termination is Challenging in Korea

Korean labor law strongly favors employee protection. 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s Act (Article 23), an employer cannot terminate an employee without a justifiable cause. Additionally, Article 27 requires employers to provide written notice specifying the reason and timing of termination.

  1. High Legal Burden for Termination
  • Proving Just Cause: Employers must demonstrate that an employee engaged in serious misconduct (e.g., fraud, harassment, or violence). Poor performance alone is usually not sufficient.
  • Restructuring-Related Layoffs: Under Article 24, layoffs due to business needs require employers to:
    • Prove an urgent managerial necessity
    • Show efforts to avoid layoffs (e.g., internal reassignment or cost-cutting measures)
    • Follow fair and objective selection criteria

Failure to meet these requirements may result in termination being ruled as unfair dismissal.

  1. Risk of Legal Disputes

If an employee believes they were unfairly dismissed, they can file an unfair dismissal complaint (Article 28) with the labor office. If the case is ruled in favor of the employee, the company may be required to reinstate them or provide financial compensation.

How Foreign Companies Should Approach Recommended Resignation

  1. Negotiation Over Enforcement

Unlike in some countries where at-will employment allows employers to terminate employees freely, Korean labor law mandates negotiation for workforce reductions. Foreign companies should be prepared to engage in discussions rather than issuing unilateral termination notices.

  1. Offering Favorable Exit Packages

Since recommended resignation is voluntary, companies can encourage employees to accept by offering:

  • Severance pay beyond legal requirements
  • Additional compensation or incentives
  • Positive reference letters

Providing attractive terms can facilitate a smooth transition while minimizing disputes.

  1. Ensuring Proper Documentation

To avoid potential disputes, it is crucial to have:

  • A clear resignation agreement signed by the employee
  • Proper documentation of discussions and agreements
  • Legal review of severance and resignation terms

Conclusion: A Strategic Approach is Essential

Foreign companies operating in Korea must understand that termination laws are highly employee-centric. Instead of relying on unilateral terminations, companies should adopt a strategic approach, leveraging negotiation and voluntary agreements to manage workforce changes effectively.

Unlike in movies where a boss dramatically declares, “You’re fired!”, such direct dismissals are nearly impossible in Korea. Termination requires due process, making it crucial for companies to handle employment transitions carefully. With proper planning and compliance, recommended resignation can be a mutually beneficial solution for both employers and employees.

권고사직과 해고의 차이점, 법적 의미 및 대응 방법

권고사직 vs 해고. 권고사직 대응법

권고사직이란 무엇인가?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권고사직"이라는 단어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이는 회사가 직원에게 퇴사를 권유하는 형태의 고용 종료 방식입니다. 흔히 "해고"와 혼동되지만, 법적 의미에서 권고사직과 해고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한국 노동법에서는 해고가 엄격히 규제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해고 대신 권고사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권고사직과 해고의 차이점, 법적 의미, 그리고 근로자가 권고사직을 통보받았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권고사직과 해고의 차이점

1. 법적 정의

권고사직: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자발적인 퇴사를 권유하는 방식입니다. 즉, 근로자의 동의가 필수적이며,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될 수 없습니다.

해고: 사용자가 근로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고용 관계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고는 법적으로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해고할 경우 부당해고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회사 입장에서의 차이

  • 해고를 하기 위해서는 정당한 사유(예: 근로자의 중대한 과실, 경영상의 이유 등)가 필요하며, 해고 예고(30일 전 사전 통보, 근로기준법 제26조)징계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반면, 권고사직은 근로자의 동의가 전제되기 때문에 법적 절차가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정식 해고보다는 권고사직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근로자의 선택권

  • 권고사직은 근로자가 거부할 수 있으며, 합의되지 않으면 근로 관계는 유지됩니다.
  • 해고는 근로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진행될 수 있지만, 부당해고 소송을 제기할 권리가 있습니다.

실제 회사에서 해고가 어려운 이유

한국 노동법은 근로자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어, 기업이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근로기준법 제23조(해고 제한)**에 따르면, 사용자는 정당한 이유 없이 근로자를 해고할 수 없으며, 해고 시에도 반드시 서면으로 해고 사유와 시기를 통보해야 합니다(근로기준법 제27조).

1. 해고의 정당한 사유 입증의 어려움

  • 근로자의 중대한 비위 행위: 횡령, 성희롱, 폭력 등의 중대한 위법 행위가 있어야 하며, 단순한 업무 태만이나 성과 부족만으로는 정당한 해고 사유로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 경영상 이유로 인한 해고(정리해고): 근로기준법 제24조에 따라, 정리해고는 ▲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성이 있어야 하고 ▲ 해고 회피 노력을 다했으며 ▲ 합리적이고 공정한 기준에 따라 해고 대상자를 선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부당해고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2. 부당해고 소송 가능성

만약 기업이 정당한 사유 없이 해고를 진행하면 근로자는 **부당해고 구제 신청(근로기준법 제28조)**을 할 수 있으며, 노동위원회에서 부당해고 판정을 받을 경우 복직 또는 금전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법적 절차를 피하기 위해 기업들은 해고보다는 권고사직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권고사직을 통보받았을 때의 대응 방법

권고사직을 통보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수락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과 같은 대응 방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퇴직 여부 신중히 결정하기

권고사직을 수락하면 자발적 퇴사로 간주되기 때문에,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 측과 협의하여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권고사직 사유를 명확히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퇴직 조건 협상하기

회사가 권고사직을 요청하는 경우, 퇴직금 외에도 추가적인 보상(예: 위로금, 경력 추천서 제공 등)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기 근속자라면 인센티브 또는 추가 퇴직 보상금을 협상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부당한 권고사직인지 확인하기

만약 회사가 사실상 해고에 해당하는 상황(예: 일방적 통보, 강요, 압박)을 조성했다면, 이는 부당해고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노동청에 신고하거나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 신청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결론: 권고사직은 흔하지만, 자신의 권리는 지켜야 한다

실제 노동 환경에서는 해고보다 권고사직이 더 자주 발생합니다. 하지만 권고사직을 통보받았다고 해서 당황하거나 무조건 수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법적으로 자신의 권리를 충분히 이해하고, 퇴직 조건을 협상하며, 필요할 경우 법적 대응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권고사직을 당했다면, 감정적으로 너무 스트레스받지 말고, 차분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권고사직이 근로자의 미래를 결정짓는 것은 아닙니다.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면서 더 나은 직장을 찾는 계기로 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권고사직은 사실 ‘합의‘ 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회사측에서 먼저 퇴사를 권유(권고) 하는 것입니다.

이 때, 근무자 측에서 취할 수 있는 것은 정상적인 근무가 불가능 할 경우, 최대한 본인에게 유리하게 조건을 협의하는 것일 수 있습니다.

이미 관계가 틀어지고, 퇴사가 결정된 상황에서 사측이 권고사직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이성적으로 적당한 선에서 금액적인 부분이든 다른 조건이든 협의를 통해 유리한 조건으로 퇴사를 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습니다.

그 회사가 아니어도 당신은 가치가 있습니다.

사람이든 회사든 서로 맞지 않을 수 있는 일입니다.

더 좋은 회사를 발견하기를 바라며, 화이팅!

사회 초년생을 위한 연차계산!

사회 초년생을 위한 연차 계산법

사회 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연차휴가 완벽 정리!

첫 직장에서 일하다 보면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연차가 몇 개지?" "연차 수당은 어떻게 계산되지?" 같은 궁금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연차휴가는 근로자의 법적 권리이므로, 정확한 개념과 계산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사회 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연차휴가의 기본 개념과 최근 추세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연차휴가란?

연차휴가는 일정 기간 근무한 근로자가 유급으로 쉴 수 있는 휴가를 말합니다. 즉, 연차를 사용해도 급여가 차감되지 않습니다.

💡 연차 발생 기준:
1년 미만 근무자매월 개근하면 1일씩 발생 (최대 11일)

1년 이상 근무자15일 지급 (1년 차에 발생한 연차는 소멸됨)

3년 이상 근속 시2년마다 연차 1일 추가 (최대 25일까지)

예를 들어, 3년 차에는 15 + 1 = 16, 5년 차에는 15 + 2 = 17이 지급됩니다.

✅ 연차휴가 사용 및 미사용 시 보상

연차휴가는 발생한 연도 내에 사용해야 하며, 미사용 시 연차수당(연차보상비)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연차 수당 계산 공식

1일 연차수당 = 1일 평균임금
연차수당 = 1일 평균임금 × 미사용 연차 일수

1일 평균임금 = 퇴사 전 3개월 급여 총액 ÷ 총 근무일 수
✔ 미사용 연차가 5일이고, 1일 평균임금이 10만 원이면 → 10만 원 × 5일 = 50만 원 지급

⚠ 단, 회사에서 연차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했다면,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최근 연차휴가 관련 주요 트렌드

1️⃣ 연차 사용 촉진 제도 활성화
회사가 연차 사용을 독려할 경우, 근로자가 연차를 사용하지 않아도 연차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에서 연차 촉진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촉진제도는, 쓰라고 했는데도 안끄

2️⃣ 반차·반반차 제도 도입 증가
최근 많은 기업이 반차(0.5일), 반반차(0.25일) 사용을 허용하며, 유연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3️⃣ 연차를 자유롭게 쓰는 문화 확산
과거에는 눈치 보며 연차를 사용하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최근에는 연차 사용을 적극 권장하는 기업 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 연차휴가 사용 전 꼭 체크해야 할 것!

✅ 내 연차휴가 발생일 및 사용 기한 확인
✅ 연차 사용 신청 방법 (사전 승인 필요 여부)
✅ 연차 사용 촉진 여부 (미사용 시 연차수당 지급 여부)

연차는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입니다. 눈치 보지 말고 사용하고, 미사용 연차에 대한 보상도 꼼꼼히 챙기세요!

지금까지의 내용은 법적 최저기준입니다.

이것보다 모자라게 지급하면 불법이에요!

퇴직금 계산법 – 사회 초년생을 위한

퇴직금 계산법

실무를 하며 질문이 잦은 몇가지 내용을 추려서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사회 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퇴직금 계산법!

첫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다 보면 언젠가 퇴사를 고민하게 되는 순간이 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퇴직금인데요. 
많은 분들이 "1년을 채워야 받을 수 있다" 정도만 알고, 정확한 계산 방법은 잘 모르더군요. 
오늘은 퇴직금 산정 방식과 지급 기준을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퇴직금 지급 기준

퇴직금은 우리나라에서 근무하는  근속 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외국계 기업에서 근무해도 동일합니다.

사회 초년생들이 궁금해 하는 부분은, 1년 이상 근무하면 1년치만 받는 것이 아니라, 1년 이후의 근무일도 그 날까지 포함해 계산된다는 점입니다.

즉, 1년 3개월 근무했다면 1년치 퇴직금만 받는 게 아니라, 3개월분까지 일할 계산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 × (근속연수 / 1)

여기서 1일 평균임금은 퇴사 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급여(기본급 + 상여금 + 수당 등 포함)를 총 근무일 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퇴사 전 3개월 동안 총 900만 원을 받았다면:

  • 1일 평균임금 = 900만 원 ÷ 90일 = 10만 원
  • 1년 근속 시 퇴직금 = 10만 원 × 30 = 300만 원
  • 1년 6개월 근속 시 퇴직금 = (10만 원 × 30) × (1.5) = 450만 원

즉, 1년을 넘긴 기간도 반올림 없이 정확히 일수로 계산하여 지급됩니다.

✅ 최근 추세

1️⃣ 퇴직연금(DC·IRP) 활용 증가
최근에는 퇴직금을 한 번에 받는 대신, 퇴직연금(DC형, IRP) 계좌에 적립하여 관리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퇴직금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2️⃣ 퇴직금 미지급 문제 주의
일부 사업장은 근로자의 퇴직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퇴직금은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므로, 당연히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간혹 ‘연봉/13개월’로 계약하는 회사가 있는데, 대부분 불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퇴직 전 꼭 확인해야 할 것!

✅ 퇴직 전 3개월 급여 내역 확인 (수당 포함 여부 체크)
✅ 예상 금액 계산 후 차액 없는지 확인
✅ 퇴직연금 가입 여부 및 수령 방식 결정

퇴직금은 퇴사 후 14일 이내에 지급되어야 하며, 미지급 혹은 지연시 연 20%의 이자가 가산됩니다. 연 20%면 굉장히 강한 벌칙입니다!

앞으로 이직이나 퇴사를 고려하는 분들은 퇴직금 산정 방식과 지급 기준을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3월 축제 정보 정리!

2025년 3월 국내 봄꽃축제 정리 탑5

2025년 3월, 대한민국은 다채로운 봄꽃 축제로 물들어 전국 각지에서 화사한 꽃들의 향연이 펼쳐집니다. 봄나들이를 계획하시는 분들을 위해 2025년 3월에 개최되는 대표적인 봄꽃 축제 5곳을 소개합니다. 각 축제의 일정, 장소, 특징, 그리고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함께 제공하오니 참고하시어 즐거운 봄나들이 계획을 세워보세요.
  1. 광양 매화축제
  • 일정: 2025년 3월 7일 ~ 3월 16일
  • 장소: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섬진강 매화마을
  • 특징: 섬진강을 따라 펼쳐진 매화마을에서 매년 열리는 광양 매화축제는 전국 최대 규모의 매화 축제로 손꼽힙니다. 순백의 매화꽃이 만개한 풍경은 마치 눈이 내린 듯한 아름다움을 자랑하며, 매실로 만든 다양한 먹거리와 전통 문화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 광양 매화축제 안내
  1. 구례 산수유꽃축제
  • 일정: 2025년 3월 15일 ~ 3월 23일
  • 장소: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일대
  • 특징: 구례 산수유꽃축제는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산동면 일대에서 열리며, 노란 산수유꽃이 만개한 모습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산수유 열매를 활용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지역 특산물 판매도 이루어져 방문객들에게 풍성한 즐길 거리를 제공합니다.
  • 자세한 정보: 구례 산수유꽃축제 안내
  1. 진해 군항제
  • 일정: 2025년 3월 29일 ~ 4월 6일
  • 장소: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일대
  • 특징: 진해 군항제는 국내 최대 규모의 벚꽃 축제로, 약 36만 그루의 벚나무가 일제히 꽃을 피워 장관을 이룹니다. 여좌천 로망스 다리, 경화역 등 유명한 벚꽃 명소를 따라 산책하며 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으며, 해군사관학교와 군항마을에서 다양한 문화 행사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 진해 군항제 안내
  1. 대구 이월드 블라썸 피크닉
  • 일정: 2025년 3월 23일 ~ 4월 7일
  • 장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00 이월드
  • 특징: 이월드에서는 매년 봄 벚꽃 축제인 ‘블라썸 피크닉’이 개최됩니다. 놀이공원 내 83타워 주변으로 펼쳐진 벚꽃길은 낮과 밤 모두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며, 다양한 놀이기구와 함께 봄의 낭만을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야간에는 조명이 더해져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 자세한 정보: 이월드 블라썸 피크닉 안내
  1. 제주 유채꽃축제
  • 일정: 2025년 3월 20일 ~ 4월 5일
  • 장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일대
  • 특징: 제주도의 봄을 대표하는 유채꽃축제는 가시리 일대의 드넓은 들판이 노란 유채꽃으로 물드는 장관을 선사합니다. 유채꽃밭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 제주 유채꽃축제 안내

이처럼 2025년 3월에는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봄꽃 축제가 개최되어 봄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각 축제의 일정과 장소를 확인하시어 소중한 분들과 함께 봄나들이를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실업급여(구직급여) 대상 기준 – 최신 정보 총정리

실업급여 가능조건 2가지 간단정리
실업급여(구직급여)는 갑작스러운 실직으로 인해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실업급여 대상 기준과 함께 신청 방법, 지급액, 지급 기간 등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줄 간단 정리.

  • 근무기간 : 실제 7.5개월 이상 근무해야 대상이 될 수 있음

  • 퇴사사유 : 특수 상황(원거리 출퇴근 등) 제외. 권고사직 or 계약만료의 사유

  1. 실업급여(구직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경우, 일정 기간 동안 구직활동을 하면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공식 명칭은 구직급여이며,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만 받을 수 있습니다.

  1. 2025년 실업급여 대상자 조건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고용보험 가입 기간, 이직 사유, 구직활동 의지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고용보험 가입 기간 요건

  •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 실무에서는 전체 계약기간이 7.5개월 정도는 되어야 안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보다 근무 기간이 짧을 경우, 실제 일한 날을 세어봐야 합니다.
  •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실직 전 1개월 동안 10일 이상 근무한 달이 6개월 이상이어야 합니다.

(2) 비자발적 실직

실업급여는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실직한 경우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 권고사직: 회사 경영 악화로 인한 구조조정 등
  • 계약 만료: 근로 계약이 종료되었으나 갱신되지 않은 경우
  • 임금 체불 및 열악한 근무환경: 장기간 임금 체불, 법적 기준 미달의 근로조건
  • 정당한 사유가 있는 자진 퇴사: 괴롭힘, 건강 문제, 통근 곤란(예: 왕복 3시간 이상) 등

참고: 개인적인 사유로 퇴사(예: 새로운 직장 이직, 단순한 불만 등)는 실업급여 대상이 아닙니다.

(3) 적극적인 구직활동 의지

실업급여는 단순한 실직 지원금이 아니라 재취업을 돕기 위한 제도이므로, 반드시 구직활동을 해야 합니다:

  • 고용센터에서 인정하는 구직활동을 일정 횟수 이상 수행해야 합니다.
  • 온라인 구직사이트 등록, 이력서 제출, 면접 참석 등이 포함됩니다.
  • 구직활동을 하지 않으면 지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1. 2025년 실업급여 신청 방법

① 이직 확인서 및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 준비

  • 퇴사한 사업주로부터 이직 확인서 및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② 구직신청 (고용24)

  • 고용24 홈페이지(https://m.work24.go.kr/)에 접속하여 구직신청을 해야 합니다.

③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수강

  • 온라인으로 수급자격 신청자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④ 수급자격 신청

  •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수급자격을 신청합니다.
  • 신분증, 이직확인서, 통장사본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⑤ 실업인정 및 구직활동 보고

  •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지정된 날짜마다 구직활동을 보고해야 합니다.
  • 고용센터에서 제공하는 재취업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인정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2025년 실업급여 지급액 및 지급 기간

실업급여 지급액

  • 최근 3개월 평균 임금의 60% × 하루 지급일수
  • 2025년 기준으로 실업급여의 하한액은 일 64,192원(월 약 192만 원), 상한액은 일 66,000원으로 유지됩니다.

지급 기간

  •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연령과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 최소 120일(4개월)부터 최대 270일(9개월)까지 지급됩니다.

 

  1. 실업급여를 받지 못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이 불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자발적 퇴사한 경우

  • 본인의 개인적인 사유로 퇴사한 경우(예: 다른 직장으로 이직, 단순한 불만)
  • 단, 정당한 사유(임금 체불, 괴롭힘, 건강 악화, 통근 시간 과다 등)가 있는 경우 예외적으로 인정됨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부족한 경우

  • 이직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미만이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음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 실업급여 수급 중 고용센터에서 인정하는 구직활동(이력서 제출, 면접 참석 등)을 하지 않으면 지급이 중단될 수 있음
  • 구직활동을 허위로 보고하면 지급이 정지될 수도 있음

부정수급을 한 경우

  •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허위로 신고한 사실이 적발될 경우 지급 중단뿐만 아니라 **환수 조치 및 형사처벌(최대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이 내려질 수 있음
  • 대표적인 부정수급 사례:
    • 다른 회사에서 몰래 근무하면서 실업급여를 수급
    • 거짓 구직활동 내역 제출
    • 허위 이직 사유 신고
  1. 실업급여 Q&A (자주 묻는 질문)

Q1. 계약직으로 일했는데 계약이 끝난 후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네. 계약이 종료된 후 재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고용보험 가입 기간(180일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Q2. 단기 아르바이트를 하면 실업급여가 끊기나요?

주 15시간 미만, 월 60시간 미만의 단기 아르바이트는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실업급여가 중지될 수 있습니다.

Q3. 퇴사 후 바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실업급여 신청 후 대기기간 7일(1주일) 동안은 급여가 지급되지 않습니다. 또한, 자발적 퇴사 후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도 3개월 지급 제한이 적용됩니다.

Q4. 실업급여를 받고 있다가 재취업하면 어떻게 되나요?

실업급여 지급이 중단됩니다. 하지만 조기 재취업수당을 신청하면 남은 실업급여의 50%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1년 이상 근속해야 함)

Q5. 실업급여는 세금 신고가 되나요?

네. 실업급여는 비과세 소득이지만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료 납부 이력이 남을 수 있습니다.

  1. 결론 – 실업급여를 신청할 때 꼭 알아야 할 점

– 고용보험 가입 기간(18개월 내 180일 이상) 충족 필수
비자발적 실직(정당한 사유가 있는 자진퇴사 포함)만 지급 가능
구직활동을 성실히 해야 실업급여 유지 가능
부정수급 시 법적 처벌 및 환수 조치 발생
단기 아르바이트는 일정 조건 내에서 가능

실업급여는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동안의 안전망이므로, 제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업급여 관련 추가 정보는 고용보험 홈페이지(https://www.ei.go.kr)

또는 고용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년 관련 내용이 변경되고 있습니다. 최신 정보는 반드시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다시 확인하는 것을 추천 합니다!

 

본인부담상한제 2025 총정리!

본인부담상한제란?

본인부담상한제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가 병원비 부담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일정 금액 이상을초과하는 의료비를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제도야.

즉, 환자가 1 동안 부담한 의료비가 정해진 한도를 넘으면 초과 금액을 돌려주는 제도라고 보면 돼.

어떻게 적용되나요?

  1. 건강보험 적용 의료비만 해당
    • 비급여(예: 선택진료비, 상급병실료 등)는 포함되지 않아.
    •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본인부담금(법정 본인부담금)만 해당돼.
  2. 소득 수준에 따라 상한액이 다름
    • 소득이 낮을수록 본인부담 상한액도 낮아.
    •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10 소득 구간으로 나뉘고, 구간별로 상한액이 달라.
  3. 자동 적용되거나 사후 환급 가능
    • 상한액을 초과한 금액은 자동 감면되거나, 사후에 공단에서 돌려줘.
    • 병원에서 바로 감면받는 경우도 있고, 환자가 먼저 부담한 뒤 나중에 돌려받는 경우도 있어.

2025 본인부담상한액

연도 연평균 보험료 분위

저소득 → 고소득

1분위 2~3분위 4~5분위 6~7분위 8분위 9분위 10분위
2025 그 밖의 경우 89만 원 110만 원 170만 원 320만 원 437만 원 525만 원 826만 원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141만 원 178만 원 240만 원 396만 원 569만 원 684만 원 1,074만 원

□ 사전급여 본인부담상한제 최고상한액: 826만원

※ 사전급여 본인부담상한제 최고상한액(826만원) 적용 받은 사람이 요양병원 120일 초과 입원하는경우 본인부담상한제 최고상한액은 1,074만원 적용되어 그 차액 분을 공단이 수진자에게 환수할 수 있음을 안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요양기관에서 2025년 사전급여 본인부담상한제 최고상한액(826만원)을 초과하지 않음에도 청구하는경우, 공단 사후점검을 통해 해당 요양기관에 환수할 수 있음을 안내합니다.

예를 들어 볼게!

📌 사례 1: 연소득이 낮은 A씨 (소득 2구간)

  • 2024년 1년 동안 병원비로 총 300 을 냈어.
  • 2구간의 상한액은 122 , 즉 초과한 178 을 돌려받아!

📌 사례 2: 소득이 높은 B씨 (소득 10구간)

  • 2024년 병원비로 1,200 을 냈어.
  • 10구간의 상한액은 887 , 즉 초과한 313 을 환급받아!

신청 방법

  1. 자동 적용: 일정 금액 이상 진료비가 발생하면 병원에서 바로 감면해 줘.
  2. 사후 환급: 먼저 의료비를 납부한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으로 돌려줌 (신청할 필요 없음).

본인부담상한제 환급 여부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앱에서 확인할 있어!

결론

본인부담상한제 덕분에 소득 수준에 따라 의료비 부담을 조절할 있고, 과도한 병원비 지출을 막을 있어. 의료비가 많이 나왔다면 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으로 환급해주는지 확인해보는 중요해! 😊

업데이트 되는 내용은, 아래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건강보험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