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의 힘

요즘 말을 하기가 조심스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채용 업무를 하면서 특히 ‘말’이라는 도구가 가진 힘과 그에 따른 책임감을 절감하게 됩니다.
오늘은 말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생계를 좌우하는 말 한마디
“안타깝게도 이번에는 결과가 좋지 않습니다.” 이 한 문장이 한 사람의 인생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채용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무게를 느낄 것입니다.
후보자에게 불합격 소식을 전할 때마다, 그 사람의 생계와 가족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반대로, “합격하셨습니다.”라는 말은 누군가의 삶에 새로운 장을 열어줍니다. 취업과 이직을 통해 새로운 환경으로 이동하도록 돕는 순간, 헤드헌터로서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객관성과 정보 전달자로서의 역할
저는 최대한 의견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설명하려고 노력합니다. 설득하거나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회사의 연봉 범위는 이 정도이며, 복지는 000이 있습니다. 업계 평균과 비교하면 이런 특징이 있습니다.”
이처럼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최종 결정은 후보자가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장기적으로 신뢰를 쌓는 길이라고 믿습니다. 때로는 당장의 수수료를 포기하더라도 솔직함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양날의 검: 클라이언트와 후보자 사이에서
헤드헌터는 항상 기업과 후보자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클라이언트에게는 후보자의 장단점을 정확히 전달하고, 후보자에게는 회사의 상황과 기대치를 있는 그대로 설명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정보 전달이나 과장된 표현은 결국 양측 모두에게 피해를 줍니다.
가끔 클라이언트가 “A 후보자는 어떤가요? 개인적인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라고 물어올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도 객관성을 유지하며 솔직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수수료를 생각하면 어떻게든 합격시키는 것이 유리하겠지만, 애매한 부분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고 탈락시키는 것이 더 낫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당장은 아쉬울 수 있지만, 이러한 정직한 태도가 결국 장기적인 신뢰로 이어졌습니다.

법적 책임까지 따르는 말의 무게
더 심각한 경우, 부주의한 발언 하나가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차별 금지, 허위 정보 제공과 같은 부분에서는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전 직장에서의 평판이 좋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같은 확인되지 않은 정보나, “우리는 젊은 인재를 찾고 있습니다.” 같은 차별적 발언은 심각한 법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매 순간 어떤 말을 해야 할지, 어떤 말은 삼가야 할지 끊임없이 저울질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요즘은 “내 모든 말이 녹음된다.”는 생각을 하며 통화할 정도로 신중하게 말하려고 합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이 통화를 녹음하기도 합니다.

돌이킬 수 없는 말: ‘콜 포비아’의 시대
“한 번 내뱉으면 돌이킬 수 없는 말.”
이 사실이 요즘에는 ‘콜 포비아’라는 현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전화 통화를 꺼리는 이유 중 하나는 즉각적인 대화에서 나온 말을 취소할 수 없다는 불안감 때문입니다.
문자나 이메일은 보내기 전에 여러 번 검토할 수 있지만, 실시간 대화에서는 그럴 여유가 없습니다. 헤드헌터로서 이러한 상황에서도 정확하고 진실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최근, “우선 메일로 내용 보내주세요” 라고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연락이 안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혹은 문자로만 대화를 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소한 전화를 해야 후보자에 대한 파악이 되고, 이후 미팅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좀 난감하긴 합니다.

어투와 억양: 말의 형태도 내용만큼 중요하다
말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전달 방식 역시 메시지의 효과를 좌우합니다. 같은 내용이라도 어떤 어투와 억양으로 전하느냐에 따라 상대방이 받아들이는 느낌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거절 메시지를 전달할 때의 정중한 어조, 피드백을 제공할 때의 건설적인 태도, 협상 과정에서의 명확한 입장 – 이 모든 요소가 말의 효과를 결정합니다.
디지털 시대에 이메일이나 메시지를 통한 소통이 많아졌지만, 직접 대화나 전화 통화를 통한 목소리의 뉘앙스도 여전히 중요합니다. 때로는 글로 표현하기 어려운 미묘한 감정을 목소리의 톤과 속도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말은 나의 가장 중요한 도구
지금까지 채용을 예로 말씀드렸지만, 우리는 모두 말을 하며 살아갑니다.
말 한마디로 화해할 수도 있고, 싸움이 날 수도 있습니다.
말은 나를 드러내는 것이며, 나와 타인을 연결하는 매개체입니다.
말을 하는 것이 겁나는 요즘이지만, 말을 하지 않고 살 수는 없습니다.

나이가 들고, 경험이 쌓이는 만큼 그에 비례하여 더 ‘잘’ 말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3월 축제 정보 정리!

2025년 3월 국내 봄꽃축제 정리 탑5

2025년 3월, 대한민국은 다채로운 봄꽃 축제로 물들어 전국 각지에서 화사한 꽃들의 향연이 펼쳐집니다. 봄나들이를 계획하시는 분들을 위해 2025년 3월에 개최되는 대표적인 봄꽃 축제 5곳을 소개합니다. 각 축제의 일정, 장소, 특징, 그리고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함께 제공하오니 참고하시어 즐거운 봄나들이 계획을 세워보세요.
  1. 광양 매화축제
  • 일정: 2025년 3월 7일 ~ 3월 16일
  • 장소: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섬진강 매화마을
  • 특징: 섬진강을 따라 펼쳐진 매화마을에서 매년 열리는 광양 매화축제는 전국 최대 규모의 매화 축제로 손꼽힙니다. 순백의 매화꽃이 만개한 풍경은 마치 눈이 내린 듯한 아름다움을 자랑하며, 매실로 만든 다양한 먹거리와 전통 문화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 광양 매화축제 안내
  1. 구례 산수유꽃축제
  • 일정: 2025년 3월 15일 ~ 3월 23일
  • 장소: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일대
  • 특징: 구례 산수유꽃축제는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산동면 일대에서 열리며, 노란 산수유꽃이 만개한 모습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산수유 열매를 활용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지역 특산물 판매도 이루어져 방문객들에게 풍성한 즐길 거리를 제공합니다.
  • 자세한 정보: 구례 산수유꽃축제 안내
  1. 진해 군항제
  • 일정: 2025년 3월 29일 ~ 4월 6일
  • 장소: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일대
  • 특징: 진해 군항제는 국내 최대 규모의 벚꽃 축제로, 약 36만 그루의 벚나무가 일제히 꽃을 피워 장관을 이룹니다. 여좌천 로망스 다리, 경화역 등 유명한 벚꽃 명소를 따라 산책하며 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으며, 해군사관학교와 군항마을에서 다양한 문화 행사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 진해 군항제 안내
  1. 대구 이월드 블라썸 피크닉
  • 일정: 2025년 3월 23일 ~ 4월 7일
  • 장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00 이월드
  • 특징: 이월드에서는 매년 봄 벚꽃 축제인 ‘블라썸 피크닉’이 개최됩니다. 놀이공원 내 83타워 주변으로 펼쳐진 벚꽃길은 낮과 밤 모두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며, 다양한 놀이기구와 함께 봄의 낭만을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야간에는 조명이 더해져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 자세한 정보: 이월드 블라썸 피크닉 안내
  1. 제주 유채꽃축제
  • 일정: 2025년 3월 20일 ~ 4월 5일
  • 장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 일대
  • 특징: 제주도의 봄을 대표하는 유채꽃축제는 가시리 일대의 드넓은 들판이 노란 유채꽃으로 물드는 장관을 선사합니다. 유채꽃밭을 배경으로 한 다양한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함께 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 제주 유채꽃축제 안내

이처럼 2025년 3월에는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봄꽃 축제가 개최되어 봄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각 축제의 일정과 장소를 확인하시어 소중한 분들과 함께 봄나들이를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실업급여(구직급여) 대상 기준 – 최신 정보 총정리

실업급여 가능조건 2가지 간단정리
실업급여(구직급여)는 갑작스러운 실직으로 인해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근로자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실업급여 대상 기준과 함께 신청 방법, 지급액, 지급 기간 등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줄 간단 정리.

  • 근무기간 : 실제 7.5개월 이상 근무해야 대상이 될 수 있음

  • 퇴사사유 : 특수 상황(원거리 출퇴근 등) 제외. 권고사직 or 계약만료의 사유

  1. 실업급여(구직급여)란?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가 비자발적으로 실직했을 경우, 일정 기간 동안 구직활동을 하면서 받을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공식 명칭은 구직급여이며,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근로자만 받을 수 있습니다.

  1. 2025년 실업급여 대상자 조건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고용보험 가입 기간, 이직 사유, 구직활동 의지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고용보험 가입 기간 요건

  • 이직일 이전 18개월 동안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 실무에서는 전체 계약기간이 7.5개월 정도는 되어야 안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보다 근무 기간이 짧을 경우, 실제 일한 날을 세어봐야 합니다.
  •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실직 전 1개월 동안 10일 이상 근무한 달이 6개월 이상이어야 합니다.

(2) 비자발적 실직

실업급여는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실직한 경우에만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 권고사직: 회사 경영 악화로 인한 구조조정 등
  • 계약 만료: 근로 계약이 종료되었으나 갱신되지 않은 경우
  • 임금 체불 및 열악한 근무환경: 장기간 임금 체불, 법적 기준 미달의 근로조건
  • 정당한 사유가 있는 자진 퇴사: 괴롭힘, 건강 문제, 통근 곤란(예: 왕복 3시간 이상) 등

참고: 개인적인 사유로 퇴사(예: 새로운 직장 이직, 단순한 불만 등)는 실업급여 대상이 아닙니다.

(3) 적극적인 구직활동 의지

실업급여는 단순한 실직 지원금이 아니라 재취업을 돕기 위한 제도이므로, 반드시 구직활동을 해야 합니다:

  • 고용센터에서 인정하는 구직활동을 일정 횟수 이상 수행해야 합니다.
  • 온라인 구직사이트 등록, 이력서 제출, 면접 참석 등이 포함됩니다.
  • 구직활동을 하지 않으면 지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1. 2025년 실업급여 신청 방법

① 이직 확인서 및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 준비

  • 퇴사한 사업주로부터 이직 확인서 및 고용보험 상실 신고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② 구직신청 (고용24)

  • 고용24 홈페이지(https://m.work24.go.kr/)에 접속하여 구직신청을 해야 합니다.

③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수강

  • 온라인으로 수급자격 신청자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④ 수급자격 신청

  •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수급자격을 신청합니다.
  • 신분증, 이직확인서, 통장사본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⑤ 실업인정 및 구직활동 보고

  •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지정된 날짜마다 구직활동을 보고해야 합니다.
  • 고용센터에서 제공하는 재취업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인정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1. 2025년 실업급여 지급액 및 지급 기간

실업급여 지급액

  • 최근 3개월 평균 임금의 60% × 하루 지급일수
  • 2025년 기준으로 실업급여의 하한액은 일 64,192원(월 약 192만 원), 상한액은 일 66,000원으로 유지됩니다.

지급 기간

  • 실업급여 지급 기간은 연령과 가입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 최소 120일(4개월)부터 최대 270일(9개월)까지 지급됩니다.

 

  1. 실업급여를 받지 못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이 불가능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자발적 퇴사한 경우

  • 본인의 개인적인 사유로 퇴사한 경우(예: 다른 직장으로 이직, 단순한 불만)
  • 단, 정당한 사유(임금 체불, 괴롭힘, 건강 악화, 통근 시간 과다 등)가 있는 경우 예외적으로 인정됨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부족한 경우

  • 이직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미만이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음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

  • 실업급여 수급 중 고용센터에서 인정하는 구직활동(이력서 제출, 면접 참석 등)을 하지 않으면 지급이 중단될 수 있음
  • 구직활동을 허위로 보고하면 지급이 정지될 수도 있음

부정수급을 한 경우

  •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허위로 신고한 사실이 적발될 경우 지급 중단뿐만 아니라 **환수 조치 및 형사처벌(최대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이 내려질 수 있음
  • 대표적인 부정수급 사례:
    • 다른 회사에서 몰래 근무하면서 실업급여를 수급
    • 거짓 구직활동 내역 제출
    • 허위 이직 사유 신고
  1. 실업급여 Q&A (자주 묻는 질문)

Q1. 계약직으로 일했는데 계약이 끝난 후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네. 계약이 종료된 후 재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고용보험 가입 기간(180일 이상)을 충족해야 합니다.

Q2. 단기 아르바이트를 하면 실업급여가 끊기나요?

주 15시간 미만, 월 60시간 미만의 단기 아르바이트는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 실업급여가 중지될 수 있습니다.

Q3. 퇴사 후 바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아니요. 실업급여 신청 후 대기기간 7일(1주일) 동안은 급여가 지급되지 않습니다. 또한, 자발적 퇴사 후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도 3개월 지급 제한이 적용됩니다.

Q4. 실업급여를 받고 있다가 재취업하면 어떻게 되나요?

실업급여 지급이 중단됩니다. 하지만 조기 재취업수당을 신청하면 남은 실업급여의 50%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단, 1년 이상 근속해야 함)

Q5. 실업급여는 세금 신고가 되나요?

네. 실업급여는 비과세 소득이지만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료 납부 이력이 남을 수 있습니다.

  1. 결론 – 실업급여를 신청할 때 꼭 알아야 할 점

– 고용보험 가입 기간(18개월 내 180일 이상) 충족 필수
비자발적 실직(정당한 사유가 있는 자진퇴사 포함)만 지급 가능
구직활동을 성실히 해야 실업급여 유지 가능
부정수급 시 법적 처벌 및 환수 조치 발생
단기 아르바이트는 일정 조건 내에서 가능

실업급여는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동안의 안전망이므로, 제도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업급여 관련 추가 정보는 고용보험 홈페이지(https://www.ei.go.kr)

또는 고용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년 관련 내용이 변경되고 있습니다. 최신 정보는 반드시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다시 확인하는 것을 추천 합니다!

 

외국계 기업 취업 가이드: 처음 시작하는 지원자를 위한 팁

외국계 취업 가이드-초보

막막한 외국계 기업 취업, 아래 내용만 찬찬히 보고 실행해도 방향은 맞는 곳으로 가는 겁니다!

  1. 외국계 취업,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외국계 기업에 입사하고 싶다면 우선 정보 수집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많은 지원자가 무작정 이력서를 작성하거나 지원부터 하는 실수를 합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준비 과정이 필요합니다.

외국계 취업을 위한 기본 준비 단계

  1. 희망하는 직무와 업계를 정리하기: 외국계 기업은 다양한 산업과 직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인의 경력과 목표에 맞는 직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합니다. 대학교 이름만 보고 점수에 맞춰 과를 선택하는 것과 비슷하긴 한데, 회사는 직무-전문성-을 중심으로 뽑기 때문에 무조건 외국계에서 외국인들과 커피 마시며 여유롭게 대화하는 상상은 금물입니다.
  2. 외국계 기업에 대한 정보 조사하기: 각 기업의 문화, 인재상, 채용 방식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3. 영어 및 외국어 역량 점검: 대부분의 외국계 기업에서는 영어 인터뷰나 업무가 요구됩니다. 기본적인 회화 및 비즈니스 영어 실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준비: 외국계 기업에서는 한국식 이력서보다는 영문 이력서(Resume 또는 CV)를 선호합니다.
  5. 링크드인(LinkedIn) 활용하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업 담당자와의 연결을 위해 필수적인 플랫폼입니다.
  1. 외국계 취업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외국계 기업의 채용 정보를 얻으려면 다음과 같은 사이트를 적극 활용하세요.

1) 수퍼루키 (Super Rookie) – 신입 or Junior 지원자

  • 외국계 및 스타트업 채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
  • 이력서 등록 및 다양한 직무 교육 콘텐츠 제공
  • URL: https://www.superrookie.com

2) 피플앤잡 (People & Job) – 경력 보유한 지원자

  • 외국계 기업 전문 채용 사이트로, 다양한 글로벌 기업의 채용 공고 확인 가능
  • 외국계 취업 관련 커뮤니티 활동 가능
  • URL: https://www.peoplenjob.com

3) 링크드인 (LinkedIn)

  • 글로벌 기업 및 채용 담당자와 직접 네트워킹 가능
  • 최신 채용 공고 및 업계 동향 파악 가능
  • URL: https://www.linkedin.com
  1. 성공적인 링크드인(LinkedIn) 프로필 작성법

외국계 취업을 위해 링크드인은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프로필을 최적화하세요.

1) 프로필 사진 및 헤드라인 설정

  • 프로페셔널한 사진 사용: 배경이 깔끔하고 정장이 어울리는 사진 추천
  • 헤드라인은 간결하게: 예) “Experienced Marketing Specialist | Digital Marketing & SEO Expert”

2) About(소개) 섹션 작성

  • 간결하면서도 핵심적인 경력과 강점을 강조
  • 예시:

“I am a results-driven marketing professional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in digital marketing, SEO, and brand management. Passionate about driving business growth through innovative marketing strategies.”

3) 경험(Experience) 섹션 작성

  • 직무 경험을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성과 중심의 문장을 사용
  • 예) “Increased social media engagement by 150% through targeted content strategy.”

4) 기술(Skills) 및 추천서(Endorsements & Recommendations)

  • 업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기술 추가 (예: Digital Marketing, Data Analysis, Project Management 등)
  • 동료나 상사에게 추천서를 요청하여 신뢰도 향상
  1. 외국계 취업 상담이 필요하다면?

외국계 취업을 처음 준비하는 경우, 전문 헤드헌터나 커리어 컨설턴트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맞춤형 이력서 및 커버레터 작성법
  • 모의 인터뷰 및 피드백
  • 기업별 채용 트렌드 제공

결론

외국계 취업을 원한다면 체계적인 정보 수집과 준비가 필수입니다.

  1. 희망하는 기업과 직무를 파악하고,
  2. 수퍼루키, 피플앤잡 등 전문 플랫폼에서 채용 정보를 확인하며,
  3. 링크드인을 최적화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세요.

이러한 과정이 쌓이면, 원하는 외국계 기업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공고를 먼저 보고, 어떤 사람을 원하는지에 대한 분석 + 자신이 그들에게 어떻게 보일까를 고민하셔야 합니다.

비전문적인 단기 계약직, 어떻게 찾을까? 효과적인 구직 전략!

비전문적인 단기 계약직, 어떻게 찾을까? 효과적인 구직 전략!

최근 경기 불확실성과 함께 장기적인 커리어를 계획하기보다는 단기 계약직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특정한 전문 기술이 없는 경우, 비전문적인 단기 계약직(예: 사무 보조, 물류, 행사 스태프, 콜센터 등)은 빠르게 취업할 수 있는 좋은 선택지가 됩니다. 하지만 단기 계약직도 제대로 알아보지 않으면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구직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비전문 단기 계약직이란?

비전문 단기 계약직은 특정한 기술이나 경력이 필요하지 않고, 짧은 기간(보통 몇 주~6개월) 동안 일하는 직무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무 보조: 문서 정리, 데이터 입력, 전화 응대
  • 물류 및 배송: 창고 관리, 상품 분류, 포장 업무
  • 행사 스태프: 전시회, 콘서트, 스포츠 이벤트 진행 보조
  • 콜센터 및 고객 상담: 단순 문의 응대, 예약 관리
  • 프리랜서형 업무: 전단지 배포, 간단한 설문 조사, 온라인 작업(리뷰 작성, 데이터 라벨링)
  1. 단기 계약직을 찾는 방법

① 구인구직 플랫폼 활용하기

단기 계약직은 전문 채용 사이트보다 알바나 아웃소싱 플랫폼에서 더 많이 모집됩니다. 대표적인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알바몬, 알바천국: 단기 및 일용직 공고가 많음
  • 잡코리아, 사람인: 단기 계약직 및 아웃소싱 회사 공고 확인 가능
  • 사람인 ‘단기 채용관’: 계약직만 따로 모아둔 페이지 활용
  • 크몽, 숨고: 온라인 단기 프로젝트(번역, 리뷰 작성 등) 가능

TIP: ‘단기 계약직’, ‘일용직’, ‘아르바이트’, ‘사무보조 계약직’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원하는 공고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② 아웃소싱 및 인력 파견 업체 활용하기

많은 기업이 직접 채용하지 않고, 아웃소싱 업체를 통해 단기 계약직을 모집합니다. 주요 아웃소싱 회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니에스
  • 프리드라이프(행사 인력 전문)

이런 업체에 이력서를 등록하면, 단기 계약직이 필요할 때 연락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③ SNS 및 커뮤니티 활용하기

페이스북, 네이버 카페, 오픈채팅방에서도 단기 계약직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 그룹: ‘단기 알바 정보’, ‘일자리 정보 공유’ 등 검색
  • 네이버 카페: ‘취업정보 공유’ 카페에서 공고 확인 가능
  • 카카오톡 오픈채팅: 지역별 단기 알바방 활용

주의할 점: 사기 공고를 조심하세요! 지나치게 높은 급여를 제시하거나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1. 단기 계약직 지원 시 체크해야 할 사항

근로계약서 작성 여부
구두 계약이 아닌 서면 계약서 작성이 필수입니다. 근로 조건(근무 기간, 급여 지급일, 업무 내용 등)을 명확히 확인하세요.

급여 지급 방식
현금 지급, 계좌 이체 여부를 확인하고, ‘일급제’의 경우 지급 주기를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업무 강도 및 근무 환경
단기 계약직이라도 업무 강도가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지원 전에 후기나 기업 정보를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고용보험 가입 여부
1개월 이상 근무하는 경우, 고용보험 가입이 가능하므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비전문 단기 계약직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빠른 취업 가능: 전문 기술 없이도 지원 가능
  • 유연한 근무: 원하는 기간만 근무할 수 있음
  • 다양한 경험: 여러 분야의 업무를 경험할 기회

❌ 단점

  • 경력으로 인정받기 어려움: 일부 직무는 이력서에 적어도 가산점이 크지 않음
  • 복지 혜택 부족: 정규직에 비해 복지가 부족할 수 있음
  • 장기적인 안정성 부족: 계약이 끝나면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야 함
  1. 효율적으로 단기 계약직을 활용하는 방법

여러 플랫폼을 활용하여 공고 비교하기
단기 계약직은 급여나 근무 조건이 천차만별이므로 여러 곳에서 비교 후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하면 연관된 경험을 쌓아보기
단순한 단기 아르바이트도 경력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 응대 경험이 있다면 향후 서비스직 지원 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정규직 전환 기회 확인하기
일부 기업은 단기 계약직을 먼저 채용한 후, 근무 태도가 좋은 직원에게 정규직 전환 기회를 주기도 합니다.

2025년 최신 채용 트렌드 변화: 구직자와 기업이 알아야 할 변화

채용 시장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경제적 불확실성과 사회적 변화로 인해 구직자들의 행동 패턴과 기업의 채용 방식이 크게 변했습니다. 특히 주말 구직활동 감소, 신입 지원자의 도전 감소, 대기업 공채 축소 등의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현재 채용 시장의 트렌드 변화를 심층 분석하고, 구직자와 기업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주말보다 평일에 활발한 구직활동

과거에는 주말에 채용 공고를 올리면 즉각적인 지원이 많았지만,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구직자들은 주말보다 평일에 더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주요 원인:

  • 구직자들의 온라인 활동 패턴 변화: 모바일과 인터넷을 활용한 취업 활동이 보편화되면서, 주말보다는 평일에 채용 공고를 탐색하고 지원하는 비율이 증가했습니다.
  • 취업 사이트 담당자들의 분석: 사람인, 잡코리아 등의 주요 취업 플랫폼에서도 평일에 공고를 올리는 것이 더 높은 지원율을 기록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 기업의 채용 일정 변화: 주말보다 평일에 인사 담당자들이 적극적으로 채용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지원자들도 평일에 맞춰 활동을 조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방안:

  • 채용 공고는 월요일~수요일에 게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공고의 가시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구직자 행동 패턴을 분석한 AI 기반 광고 타겟팅을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데이터 기반의 채용 마케팅 전략을 도입하여, 지원자의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고 공고 노출 최적화를 통해 유입률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 AI 및 챗봇을 활용한 즉각적인 응답 시스템을 구축하여 지원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원활한 채용 프로세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신입 지원자의 도전 감소

최근 신입 구직자들의 지원율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단순히 채용 시장의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주요 원인:

  • 연봉과 복지 수준이 기대에 못 미칠 경우 지원을 포기: 과거에는 “일단 도전하고 보자”는 경향이 강했지만, 이제는 연봉과 근무 조건이 맞지 않으면 지원하지 않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 최저임금 인상과 아르바이트 문화의 변화: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해 편의점, 카페 등에서의 아르바이트만으로도 기본적인 생활이 가능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정규직 취업보다 프리랜서 또는 단기 계약직을 선호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 부모 세대에 대한 의존도 증가: 청년층의 경제적 독립이 지연되면서, 당장 취업하지 않더라도 큰 어려움 없이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방안:

  • 신입 채용 시 단순 연봉 수준을 강조하는 것에서 벗어나 경력 개발 기회,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어필하는 브랜딩 전략을 구축해야 합니다.
  • 채용 공고의 차별화된 스토리텔링을 통해, 단순한 직무 설명이 아니라 기업 문화와 가치관을 자연스럽게 전달하여 MZ세대의 관심을 끌어야 합니다.
  • 신입 채용과 관련된 온보딩 프로그램 및 멘토링 제도를 강화하여, 입사 후 정착률을 높이고 장기 근속을 유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1. 대기업 공채 축소 및 채용 방식 변화

최근 대기업들의 채용 방식이 변화하면서, 공채보다는 수시 채용 및 경력직 중심 채용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 주요 원인: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트럼프 재당선,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 정세, 환율변동 등 불안정해지면서, 기업들이 신입 대규모 채용을 줄이고 있습니다.
  • AI 및 자동화 기술 발전: 기업들이 AI 및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신입 인력을 줄이고 기존 인력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 수시채용 확대: 한국노동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의 정기 공채 비율은 2019년 39.9%에서 2023년 35.8%로 감소했으며, 반면 수시채용 비율은 48.3%로 증가했습니다.

🎯 기업의 전략적 대응 방안:

  • 대규모 공채에서 벗어나, 핵심 직무별 맞춤형 인재 영입 전략을 수립하고, 장기적인 인재 파이프라인을 구축해야 합니다.
  • 데이터 기반 인재 추천 시스템을 활용하여, 적절한 후보자를 빠르게 확보하고, 인재 확보의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 **수시채용을 위한 내부 인재 풀(Internal Talent Pool)**을 구축하여, 필요할 때 즉각 채용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형성해야 합니다.

마무리: 변화하는 채용 시장에서 1승 거두기!

채용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구직자와 기업 모두 적응이 필요합니다.

✅ 기업은 데이터 기반 채용 전략, AI 및 자동화 활용, 유연한 채용 구조 구축이 필수적이며,

✅ 구직자는 수시채용 대비, 연봉협상 전략 강화, 개인 브랜드 구축을 준비해야 합니다.

아고다 CES 포지션 – 직무 분석, 이력서 작성 팁

아래 공고를 보고, 내가 이 포지션에 지원한다면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하나씩 살펴보자!
이 포지션은, 개인적으로 경험이 많은 포지션이야.
경력이 없는 사람은 이 설명으로 좀 부족할 수 있어.
개인의 경력과 상황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정답은 없어.
그래도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래서 정리해봤어

아고다의 Customer Experience Specialist 포지션은 고객과 파트너의 문의를 다양한 채널(전화, 이메일, 실시간 채팅)을 통해 응대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포지션은 서울 중구 을지로3가에 위치한 아고다 서울 오피스에서 근무하게 되며, 주 5일 근무제로 운영됩니다. 근무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 사이의 9시간 시프트제로, 실제 근무 시간은 7시간 30분이며, 1시간의 점심 시간과 30분의 개인 휴식 시간이 포함됩니다.

주요 업무:

  • 전화, 이메일, 실시간 채팅을 통한 고객 및 비즈니스 파트너 지원
  • 예약 변경, 취소 및 환불 처리
  • 고객 피드백을 수집하고 서비스 개선 제안
  • 내부 팀 및 외부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

지원 자격:

  • 학력: 초대졸 이상
  • 언어 능력: 한국어 능통자 및 비즈니스 수준의 영어 가능자
  • 우대 사항: 일본어 등 제2외국어 가능자, 관련 직무 경험자 

아고다 CS Agent 포지션 완벽 분석 & 지원 전략

아고다(Agoda)는 글로벌 OTA(Online Travel Agency) 기업으로, 고객 경험을 최우선으로 하는 CS(Customer Service) 팀을 운영하고 있어. 이번 공고에서 아고다가 원하는 인재상을 정확히 분석하고, 지원자가 자신의경력과 강점을 어떻게 녹여서 효과적인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작성할지 알려줄게.

📌 아고다 CS Agent 포지션 공고 해석

1.주요 업무 분석 & 적용 방법

📌 JD 항목: 전화, 이메일, 실시간 채팅을 통한 고객 파트너 지원
✅ 해석: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에서 고객과 비즈니스 파트너(호텔, 항공사 등)의 요청을 처리해야 한다는의미야. 단순한 고객 응대가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과 서비스 마인드가 중요해.
📝 이력서 적용 예시:

  • “라이브챗, 이메일, 전화 응대를 통해 하루 평균 100건 이상의 문의 해결”
  • “고객 불만 처리 및 예약 관련 이슈 해결로 CSAT(고객 만족도) 95% 유지”

📌 JD 항목: 예약 변경, 취소 환불 처리
✅ 해석: OTA 예약 시스템을 활용한 문제 해결 경험이 중요해. 예약 변경, 취소, 환불 프로세스를 이해하고있어야 유리해.
📝 이력서 적용 예시:

  • “예약 변경 및 환불 요청 1,000건 이상 처리하며, 정책을 고객 친화적으로 설명하여 CS 불만율 30% 감소”
  • “OTA 플랫폼(Agoda, Booking.com, Expedia) 사용 경험 보유”

📌 JD 항목: 고객 피드백을 수집하고 서비스 개선 제안
✅ 해석: 단순 CS 업무가 아니라, 고객의 패턴을 분석하고 서비스 개선에 기여하는 역량을 요구해.
📝 이력서 적용 예시:

  • “고객 불만 데이터를 분석해 취소 환불 프로세스 개선안을 제안, 평균 처리 시간 15% 단축”

📌 JD 항목: 내부 외부 파트너와 협업을 통한 문제 해결
✅ 해석: 고객뿐만 아니라, 호텔, 항공사 등과 협업해 이슈를 해결해야 하므로 커뮤니케이션 스킬이 중요해.
📝 이력서 적용 예시:

  • “호텔 및 항공사와 협업하여 고객 보상 프로세스를 개선, CS 불만 해결률 20% 상승”
  1. 지원 자격 분석 & 대비 방법

📌 JD 항목: 초대졸 이상
✅ 해석: 학력이 중요한 요소는 아니지만,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하다는 뜻.

📌 JD 항목: 한국어 능통자 비즈니스 수준의 영어 가능자
✅ 해석: 영어 고객 대응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음. 특히 OTA 업계는 글로벌 고객을 상대하기 때문에 이메일 & 채팅을 영어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
📝 이력서 적용 예시:

  • “영어로 고객 문의 응대 경험 (이메일 및 채팅) / 해외 고객 50% 이상 응대”

📌 JD 항목: 2외국어 가능자 우대 (특히 일본어)
✅ 해석: 일본인 여행객이 많기 때문에 일본어 가능자는 우대됨.

📌 JD 항목: 관련 직무 경험 우대
✅ 해석: 여행, 항공, 호텔, CS, 고객 응대 경험이 있으면 강점이 됨. OTA 경험이 없다면 콜센터, 서비스업 경험도어필 가능.
📝 이력서 적용 예시:

  • “호텔 프론트 데스크에서 예약 및 고객 문의 처리 (3년) → OTA CS 업무와 연관성 강조”

3️.이력서 & 자기소개서 작성 가이드

✅ 이력서 작성

  • JD 키워드(예약 변경, 환불 처리, 파트너 협업, 고객 피드백 반영 등)를 최대한 반영
  • 수치 데이터 활용(예: “CSAT 95% 유지”, “일 평균 100건 응대”)
  • OTA 플랫폼 사용 경험이 있다면 반드시 기재

✅ 자기소개서 작성 예시
1. CS 경험 & 문제 해결 능력 강조
💡 예시:
“OTA CS팀에서 일하며, 예약 변경 및 환불 요청을 하루 평균 50건 이상 처리했습니다. 고객 불만 분석을 통해가장 빈번한 이슈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매뉴얼을 제작하여 팀원들의 응대 시간을 20% 단축했습니다.”

  1. 협업 능력 강조
    💡예시:
    “호텔 및 항공사와 직접 협업하여 고객 요청 사항을 원활하게 해결했습니다. 고객 보상 정책을 조정해 CS 불만을30% 이상 감소시킨 경험이 있습니다.”

📌 결론: 아고다 CS 포지션, 이렇게 지원하면 합격률 UP!

  • JD 키워드를 분석하고, 본인의 경험과 연결
  • 구체적인 수치와 성과를 활용해 이력서 & 자기소개서 작성
  • OTA 시스템 사용 경험, 다국어 가능 여부 강조

가이드를 바탕으로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면 아고다 CS 포지션 합격 가능성을 높일 있어!

본인부담상한제 2025 총정리!

본인부담상한제란?

본인부담상한제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가 병원비 부담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일정 금액 이상을초과하는 의료비를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제도야.

즉, 환자가 1 동안 부담한 의료비가 정해진 한도를 넘으면 초과 금액을 돌려주는 제도라고 보면 돼.

어떻게 적용되나요?

  1. 건강보험 적용 의료비만 해당
    • 비급여(예: 선택진료비, 상급병실료 등)는 포함되지 않아.
    •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본인부담금(법정 본인부담금)만 해당돼.
  2. 소득 수준에 따라 상한액이 다름
    • 소득이 낮을수록 본인부담 상한액도 낮아.
    •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10 소득 구간으로 나뉘고, 구간별로 상한액이 달라.
  3. 자동 적용되거나 사후 환급 가능
    • 상한액을 초과한 금액은 자동 감면되거나, 사후에 공단에서 돌려줘.
    • 병원에서 바로 감면받는 경우도 있고, 환자가 먼저 부담한 뒤 나중에 돌려받는 경우도 있어.

2025 본인부담상한액

연도 연평균 보험료 분위

저소득 → 고소득

1분위 2~3분위 4~5분위 6~7분위 8분위 9분위 10분위
2025 그 밖의 경우 89만 원 110만 원 170만 원 320만 원 437만 원 525만 원 826만 원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141만 원 178만 원 240만 원 396만 원 569만 원 684만 원 1,074만 원

□ 사전급여 본인부담상한제 최고상한액: 826만원

※ 사전급여 본인부담상한제 최고상한액(826만원) 적용 받은 사람이 요양병원 120일 초과 입원하는경우 본인부담상한제 최고상한액은 1,074만원 적용되어 그 차액 분을 공단이 수진자에게 환수할 수 있음을 안내해 주시기 바랍니다.

 ※ 요양기관에서 2025년 사전급여 본인부담상한제 최고상한액(826만원)을 초과하지 않음에도 청구하는경우, 공단 사후점검을 통해 해당 요양기관에 환수할 수 있음을 안내합니다.

예를 들어 볼게!

📌 사례 1: 연소득이 낮은 A씨 (소득 2구간)

  • 2024년 1년 동안 병원비로 총 300 을 냈어.
  • 2구간의 상한액은 122 , 즉 초과한 178 을 돌려받아!

📌 사례 2: 소득이 높은 B씨 (소득 10구간)

  • 2024년 병원비로 1,200 을 냈어.
  • 10구간의 상한액은 887 , 즉 초과한 313 을 환급받아!

신청 방법

  1. 자동 적용: 일정 금액 이상 진료비가 발생하면 병원에서 바로 감면해 줘.
  2. 사후 환급: 먼저 의료비를 납부한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으로 돌려줌 (신청할 필요 없음).

본인부담상한제 환급 여부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앱에서 확인할 있어!

결론

본인부담상한제 덕분에 소득 수준에 따라 의료비 부담을 조절할 있고, 과도한 병원비 지출을 막을 있어. 의료비가 많이 나왔다면 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으로 환급해주는지 확인해보는 중요해! 😊

업데이트 되는 내용은, 아래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건강보험공단

퇴마록 애니메이션 2025 – 총정리

1993년 베스트셀러 퇴마록이 2025년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합니다. 퇴마록 매니아로서 기대가 큽니다!

퇴마록 애니메이션의 차별화된 특징과 스토리

1993년 출간된 이우혁 작가의 『퇴마록』이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되었습니다. 한국의 무속신앙, 불교, 기독교가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세계관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최신 애니메이션 기술로 구현되었습니다.

퇴마록 애니메이션 제작진과 기술력

  • 제작사: 로커스(Locus)
  • 주요 작품: 레드슈즈, 넷플릭스 신비아파트
  • 사용 기술: 3D 카툰 렌더링, 2D+CG 하이브리드 기법

퇴마록 애니메이션 주요 캐릭터 소개

  1. 강림도령(한강림): 한국 무속신앙 기반 퇴마사
  2. 장준후: 기독교 신부 출신 악령 퇴치 전문가
  3. 서유진: 격투 능력자 여성 퇴마사
  4. 김현: 불교 승려 출신 주술사

퇴마록 애니메이션 음악과 사운드

OST 특징

  • 국악과 오케스트라의 융합
  • 장구, 태평소, 가야금 등 전통 악기 활용
  • 불교 범패와 무속 음악 요소 가미

퇴마록 애니메이션의 세계적 영향력

해외 영화제 초청

  • 2025 시체스 국제 영화제 공식 초청
  • 2025 안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공식 초청

한국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도전

퇴마록이 한국 애니메이션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애니메이션 시장 확대
  • 한국형 판타지의 글로벌화
  • 애니메이션 기술력 입증

자주 찾는 퇴마록 애니메이션 정보

  • 개봉일: 2025년 예정
  • 관람가: 15세 이상 관람가
  • 러닝타임: 120분
  • 제작사: 로커스(Locus)
  • 원작: 이우혁 ‘퇴마록’

끝으로..

소설을 중학교때 봤던것 같은데, 지난번 영화로 만들어 졌을때는 실망이 컷습니다. 이번 퇴마록 애니메이션은 매니아층이 오랜만에 만족하고 볼만한 버전으로 평가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곧 보고 와서 후기 쓸게요! 🙂

신입 이력서 작성 완벽 가이드: 전략적 자격증 기재부터 실수 방지까지

이력서 작성의 실제!

처음 작성하는 이력서에 실수가 있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봤습니다.

목차

  1. 신입 이력서의 특징
  2. 자격증과 경험 기재의 황금률
  3. 전략적 이력서 작성법
  4. 흔히 하는 실수와 해결방안
  5. 업종별 이력서 작성 팁

신입 이력서, 이것만은 알고 시작하자

취업 준비생이라면 누구나 고민하는 이력서 작성. 특히 신입은 경력직과 다른 전략이 필요합니다. 어떻게 하면 나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을까요?

자격증과 경험 기재의 황금률

전략적 자격증 기재의 중요성

  • 보유한 모든 자격증을 나열하는 것은 금물
  • 지원 직무와 무관한 자격증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음
  • 예시: 마케팅 직무 지원 시 항공 예약 자격증은 불필요

올바른 자격증 선별 방법

  1. 지원 직무 연관성 검토
  2. 향후 커리어 방향성 고려
  3. 핵심 역량 증명 가능 여부 확인

전략적 이력서 작성법

  1. 직무 맞춤형 내용 구성
  • 지원하는 포지션에 맞는 자격증만 선별적 기재
  • 관련 없는 경험/자격은 과감히 제외
  • 직무 연관성 있는 대외활동 중심으로 작성
  1. 실습/인턴 경험 기재 요령
  • 배운 점과 성과 중심으로 서술
  • 범용적인 직무 역량 위주로 작성
  • 너무 특정 분야에 치우친 설명 지양

흔히 하는 실수와 해결방안

  1. 무분별한 자격증 나열

❌ 잘못된 예시: “관광학과 졸업생이 마케팅 직무 지원 시 토파스, 항공 예약 자격증 기재”

⭕ 올바른 예시: “마케팅 직무 관련 디지털 마케팅 자격증, 광고 공모전 수상 경력 중심 기재” or 자격증을 아예 기재하지 않기!

  1. 실습 경험 서술 실수

❌ 잘못된 예시: “항공사 실습 경험을 일반 기업 마케팅 직무 지원 시 그대로 기재”

⭕ 올바른 예시: “고객 응대, 데이터 분석, 팀워크 등 범용적 역량 중심으로 재구성”

업종별 이력서 작성 팁

IT 업계

  • 프로젝트 경험 강조
  • 문제 해결 능력 부각
  • 기술 스택 명확히 제시

마케팅

  • 데이터 분석 능력 강조
  • 소셜미디어 활용 경험
  • 콘텐츠 제작 포트폴리오

금융권

  • 관련 자격증 필수 기재
  • 수리적 역량 강조
  • 업계 동향 관심도 표현

마무리

이력서는 나를 표현하는 첫 인상입니다. 모든 것을 담으려 하기보다는, 지원하는 직무에 맞춰 전략적으로 작성하세요. 불필요한 자격증이나 경험은 과감히 제외하고, 직무 연관성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관련 키워드

신입 이력서, 자기소개서 작성법, 취업 준비, 자격증 기재, 경력 기술, 인턴 경험, 자소서 팁, 취준생 꿀팁